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

부모급여란 무엇일까? 부모급여 뜻, 금액, 신청방법 알아보기

by 박둥잉 2023. 1. 5.

최근 뉴스에 보면 부모급여라는 단어가 많이 나온다. 아이들을 키우는데 국가에서 많은 지원을 하고 있는데 그 정책 중 한 가지가 부모급여를 지급하는 것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데 육아휴직 등으로 감소된 소득을 나라에서 보전해주는 제도를 말한다.  그럼 아래에서 부모급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부모급여의 모든 것

부모급여란
부모급여는 출산이나 양육을 하는 경우 아이들을 케어하려면 가구의 소득이 감소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소득 감소를 보전하여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고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부모급여 얼마나 받을 수 있나
2023년부터 만 0세는 월 70만 원, 만 1세는 월 35만 원을 지급받는다. 2024년부터는 만 0세는 월 100만 원, 만 1세는 월 50만 원의 지원금을 받는다. 여기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만 0세, 1세 모두 동일하게 51만 4000원의 보육료 바우처를 지급받는다. 하지만 만 0세는 부모급여 70만 원을 받을 수 있는데 보육료 바우처를 받을 경우 차액인 18만 6000원을 현금으로 받게 된다.
부모급여 신청방법
중요하다. 출생일을 포함하여 60일 이내에 부모급여를 신청해야 한다. 그래야 출생일이 속한 달부터 부모급여를 받을 수 있다. 
부모급여는 주민센터, 복지로, 누리집,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하니 참고하길 바란다. 온라인으로 신청할 때 친부모인 경우에만 신청이 가능하다.
부모급여 지급시기
부모급여는 1월 25일부터 매월 25일 날 지급된다. ( 단 신청이 늦어져 25일에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 다음 달 같이 지급받게 됨)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보육료 바우처로 지급되며 어린이집 이용 시 국민행복카드를 사용하여 지원금을 결제할 수 있다.
오늘은 이렇게 부모급여에 대해 알아보았다. 최근 어린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젊은 부부들을 보면 항상 아이에 대한 걱정이 크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맞벌이를 하는 경우 아이를 돌봐줄 사람이 없고 방학같이 어린이집이 쉬는 경우에는 더욱더 난감하다. 부모급여를 통해 육아휴직동안 급여가 감소하더라도 조금은 마음을 덜을 수 있을 것 같다. 자녀가 어릴 때 같이 행복한 시간을 누릴 수 있길 바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