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러를 돌릴 추운 겨울이 왔다. 우리가 살고 있는 아파트의 대부분은 지역난방 방식과 개별난방 방식이다. 오늘은 이 두 가지 난방방식의 차이점을 알아보려고 한다. 각 난방방식마다 자신에게 맞는 방식이 있으니 아래 내용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난방방식을 찾아보길 바란다. 간단하게 먼저 설명하면 지역난방은 지역난방공사에서 온수로 각 세대에 공급하여 난방하는 방식이고 개별난방은 각 세대별로 보일러 등 난방장치를 통해 난방하는 방식을 말한다.
각 난방의 장단점
우선 지역난방의 경우 개별적으로 세대 내에 보일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보일러실의 공간 활용에 유리하다. 또한 난방공사에서 열에너지를 온수로 공급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고 24시간 언제든 급탕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많은 세대수를 관리하는 주체가 있으므로 난방비가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그렇다면 지역난방의 단점은 무엇일까? 지역난방에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 이상으로는 방 안의 온도를 올리기가 어렵다. 내가 살아본 결과 확실히 개별난방이 따뜻하긴 했다.
이번엔 개별난방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겠다. 이름 그대로 내가 원할 때 난방기를 가동하여 방 안에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이용요금이 천차만별이다. 자신이 엄청 따뜻한 바닥을 좋아한다고 하면 지역난방보다는 개별난방이 더 사용하기에 좋을 것이다.
개별난방의 단점은 우선 보일러가 세대 내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난방과는 다르게 보일러의 설치 및 유지보수도 자신이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두 난방방식 모두 살아봤지만 난 지역난방이 개인적으론 더 좋았다. 개별난방보다 덜 뜨겁다곤 하지만 겨울을 나는 데에는 부족함이 없었고 적당한 온도로 사용했기에 난방비도 생각보다 저렴했었다.
오늘은 이렇게 지역난방과 개별난방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난방방식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따뜻한 겨울을 나길 바란다.
'알아두면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세제혜택이 우수한 연금저축, IRP가입해야할까? (0) | 2022.12.12 |
---|---|
증여세 비과세 한도는 얼마일까? (0) | 2022.12.09 |
대한민국 월드컵 16강 포상금, 카타르 월드컵 총상금은 얼마일까? (0) | 2022.12.04 |
2023 전국 스키장 개장일 및 이용권 가격 (0) | 2022.12.03 |
애플페이란 무엇이고 11월 도입 예정이던 애플페이 언제 도입될까? (0) | 2022.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