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는 건강검진을 받지 않지만 나이가 들수록 건강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갖게 된다. 건강검진 결과를 받아보면 종종 보이는 문구가 있다. (물론 없는 사람도 있지만). 바로 간염 항체가 없으니 예방접종을 필요하다는 문구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은 A형 간염이다.
A형 간염은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HAV)에 의해 발생하는 간염 증상이다. 오늘은 이질병에 원인과 증상, 치료법에 대해 한번 알아보려고 한다.
A형 간염의 모든 것 (A to Z)
간염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간염의 종류는 A, B, C형 간염이다. 그중 오늘은 A형 간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우선 간염 바이러스가 발견된 순서대로 이름이 명명되었다. 가장 먼저 발견된 간염 바이러스가 A, 그다음 발견된 바이러스가 B 이런 방식이다.
그렇다면 이 질병은 왜 발생하는것일까?
우선 우리나라가 지금보다 잘살기 이전인 1970년도에는 이 질병이 흔하다고 한다. 아무래도 위생적인 부분이 영향을 많이 끼친다. 이때 한번 걸렸다가 회복된 사람들은 아직까지 항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면역력이 높다. 또한 우리나라의 음식문화 중 술잔 돌리기, 국그릇 같이 떠먹기와 같은 문화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바이러스는 오염된 음식을 통해 전파하기 때문이다.
어떤 증상이 발생할까?
우선 이 질병은 30일 정도 잠복기가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초기 감기와 비슷하게 열이 나는 증상, 감기몸살 증상, 피곤함이 오래가고 간 기능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술을 자주 마시던 사람이라도 평소보다 숙취가 더 심해진다. A형 간염으로 사망하는 사망률의 경우 0.1%~0.3% 정도이고 50대 이상인 경우에는 약 2% 정도이다. 다른 질병들과 마찬가지로 소아, 고령, 임산부들은 특히 더 조심해야 한다.
예방은 어떻게 해야하나?
가장 중요한것은 손 씻기이다. 코로나로 다들 알고 있겠지만 감염병 예방에서 손 씻기는 가장 좋은 예방방법이다. 또한 예방접종 시스템이 잘 되어있어서 누구나 간편하게 예방접종을 맞을 수 있다. 예방접종은 총 2회를 실시하며 1회 차 이후에는 6개월~12개월 이후에 2차 접종을 하면 된다. 예방접종 비용은 어디서 접종하냐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보건소가 가장 저렴하다. 보건소에서는 약 3만 원 정도에 접종을 할 수 있으니 가능하면 보건소에서 접종을 하는 게 좋겠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의 간수치가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0) | 2023.02.17 |
---|---|
몸에좋은 토마토, 이런 토마토는 절대 먹으면 안되요! (0) | 2023.02.15 |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아보카도 요리법 어떤 것이 있을까? (0) | 2022.11.06 |
간에 좋은 음식 나쁜 음식 알아보자 (0) | 2022.11.05 |
녹차의 효능 및 하루 권장량은 어느 정도 일까? (0) | 2022.11.05 |
댓글